본문으로 바로가기

우리나라의 24절기


우리나라에 24절기가 있는 것은 대부분 아실텐데요. 어떤 것이 24절기에 속하고 어떤 것이 24절기에 속하지 않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략 하지, 동지, 입춘, 입추 등은 24절기에 들어간 다는 것을 아는데, 초복, 중복, 말복 등은 24절기에 들어가는지 아닌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공휴일만 챙겨보지, 24절기는 농사짓는 분들이 아니면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기한 잡학지식이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그래서 이번에는 24절기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24절기란?

24절기에 대해서 간단히 요약하면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에 따라서 농사 등에 도움을 위해 계절의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 태양의 위치를 나타내는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해서 15도 간격으로 점을 찍어서 총 24개의 절기로 나눕니다.  



24절기별 날짜 시기 및 각 절기 별 의미(뜻)과 내용.

1. 입춘(入春) : 음력으로는 정월의 절기이고 양력으로는 2월 4일 ~ 5일경이 됩니다. 태양이 황경 315도에 왔을 때를 가리키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 이 때를 봄에 들어가는 시기로 정하였습니다. 


2. 우수(雨水) : 입춘에서 15일이 지난 날로 2월 18일 ~19일 경이 됩니다. 태양이 황경 330도에 있을 때를가리키며, 날씨가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여 새싹이 나는 시기로 정해진 절기입니다. 


3. 경칩(驚蟄) : 계칩(啓蟄)이라고도 부르며 3월 5일~6일 부터 춘분 전까지를 일컫습니다. 태양이 적도와 황도가 만나는 춘분점에 있을 때를 말하며, 날씨가 따뜻해져서 개구리가 겨울 잠에서 깨어나는 시기라고 합니다. 


4. 춘분(春分) : 3월 20일 ~3월 21일 경으로 태양이 황경 360도에 왔을 때를 말합니다. 춘분에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고 춘분이 지나면 낮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시기라고 합니다.


5. 청명(淸明) : 4월 4일 ~ 5일경을 말하며  태양이 황경 15도에 있을 때입니다. 날씨가 풀리기 시작하여 화창해지기 때문에 청명이라고 불리우고 농사철의 준비를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보통 한식(寒食)의 하루 전날이거나 한식과 같은 날인 경우가 많습니다. 


6. 곡우(穀雨) : 4월 20일 ~ 21일 경이 되며 태양이 황경 30도에 있을 때를 말합니다. 봄비(농사비)가 내려서 온갖 곡식이 윤택해진다는 뜻이며, 농가에서는 모를 만들기 위해 볍씨를 담그는 시기입니다. 


7. 입하(入夏) : 5월 5일 ~ 5월 6일경이 되며 태양이 황경 45도에 있을 때입니다. 날이 더워지기 시작하며 여름이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8. 소만(小滿) : 5월 21 ~ 22일 경이 해당되며, 태양이 황경 60도에 있을 때입니다. 여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이며 모내기를 시작하고 보리를 베는 시기입니다. 잡초도 활발히 제거하는 시기입니다. 


9. 망종(芒種) : 6월 5일 ~ 6일 경으로 태양이 황경 75도에 있는 시기입니다. 씨를 뿌리는 시기라는 뜻으로 모내기와 보리베기가 본격적으로 이뤄집니다.  가장 바쁜 농번기입니다. 


10. 하지(夏至) : 6월 21 ~22일 경으로 태양이 황경 90도에 있을 때입니다. 일년 중에 낮이 가장 길고 태양이 가장 뜨거운 날입니다. 


11. 소서(小暑) : 7월 7일 ~ 8일경으로 태양이 황경 105도에 있을 때입니다. 모가 뿌리를 내리는 시기이며, 더운 바람이 불어오고 귀뚜라미가 기어다니는 시기인데, 우리나라는 이 시기에 장마철이 겹치는 경우가 많아서 습도도 높고 비도 많이 오는 시기입니다. 


12. 대서(大暑) : 7월 22일 ~23일 경으로 태양이 황도 120도에 있을 때입니다. 가장 더울 때를 나타내는 절기입니다. 한국에서는 이시기에 중복(中伏)이 있어서 가장 더운 때이기도 합니다. 


13. 입추(入秋) : 8월 7일 ~ 8일 경으로 태양이 황경 135도에 있을 때입니다. 가을이 시작한다는 것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저녁에는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합니다. 


14. 처서(處暑) : 8월 23일 ~ 24일 경으로 태양이 황경 150도에 있을 때입니다. 여름의 더위가 사라지고 일교차가 커지면서 신선한 가을 바람이 불어오는 시기를 나타내는 절기입니다.


15. 백로(白露) : 9월 7일 ~ 8일경으로 태양의 위치가 황경 165도에 있을 때입니다. 새벽이 되면 이슬이 내리기 시작한다고 하는 시기를 나타내는 절기입니다. 본격적으로 가을에 접어드는 시기로 곡식이 잘 여무는 시기입니다. 


16. 추분(秋分) : 9월 23일 ~ 24일 경이 해당되며, 태양이 황경 180도에 있을 때입니다. 추분이후로는 낮의 길이가 밤보다 짧아지게 되고, 농사는 추수기에 들어가는 곡식이 풍성한 시기입니다.

17. 한로(寒露) : 10월 8일 ~ 9일 경에 해당하며, 태양이 황경 195도에 있을 때입니다.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오곡백과를 수확하는 시기이며, 단풍이 짙어지는 시기입니다. 


18. 상강(霜降) : 10월 23일 ~ 24일 경에 해당하며, 태양이 황경 210도에 있을 때입니다. 찬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이며 농촌의 가을걷이를 마무리하는 시기입니다. 


19. 입동(入冬) : 11월 7일 ~ 8일 경에 해당하며, 태양이 황경 225도에 있을 때입니다. 겨울이 시작하는 시기를 나타내는 절기입니다. 겨울을 날 준비를 합니다. 


20. 소설(小雪) : 11월 22일 ~ 23일 경에 해당하며, 태양이 황경 240도에 있을 때입니다. 얼음이 얼기 시작하고 첫눈이 내리는 시기를 나타내는 절기입니다. 모든 농사를 마무리 짓고 김장을 담그는 시기입니다. 


21. 대설(大雪) : 12월 7일 ~ 8일 경에 해당하며 태양이 황경 255도에 있을 때입니다.  큰 눈이 오는 시기라하여 대설이라 불리는 절기입니다. (중국 화북지방 기준)


22. 동지(冬至) : 12월 21일 ~ 22일 경에 해당하며 태양이 황경 270도에 있을 때입니다.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시기 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동지에 팥죽을 끓여 먹는 풍속이 있습니다. 


23. 소한(小寒) : 1월 5일 ~ 6일 경에 해당하며, 태양이 황경 285도에 있을 때입니다. 겨울 중 가장 추운 때를 나타내는 절기입니다. 


24. 대한(大寒) : 1월 20일 ~ 21일 경에 해당하며, 태양이 황경 300도에 위치합니다. 대한은 말 뜻으로 보면 가장 추운 때를 나타내지만 실제로 우리나라는 소한이 제일 춥기 때문에 겨울의 마무리라는 의미로 보는 절기입니다. 



지금까지 24절기를 알아보았는데요. 초복, 중복, 말복은 24절기 안에 속하지는 않습니다. ㅎㅎ. 24절기는 계절을 구분지음으로써 농사가 기반인 백성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정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4절기에 대해 알아보면서 못들어 보았던 절기도 있었는데요.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